수학 30문항 중 2~3점짜리 14개… 기본공식 탄탄하면 풀 수 있어
[EBS 강사들의 수능 코치 D-9]
계산실수 자주 하는 중·상위권… 암산하지 말고 쓰면서 풀어야
수능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문제만 열심히 푸는 학생들을 자주 본다. 꼭 권하고 싶은 점은 중요한 개념을 복습하면서 공부하라는 것이다. 개념을 정확히 이해해야만 응용문제뿐 아니라 고난도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수능에서 고난도 5문제를 풀려면 나머지 25문제를 잘 풀 수 있어야 한다. 쉬운 문제를 빨리 풀려면 기본 개념이 탄탄해야 한다. 중하위권 학생들이 간과하는 점이 바로 이것이다. 남은 기간의 수준별 전략을 살펴보자.
◇상위권
학력평가와 모의평가 성적만 믿고 방심하는 것은 금물이다. 어려운 문제만 풀어서도 안 된다. 모의고사 문제를 풀어보면서 시간 안배와 고난도 문제 풀이 능력을 기르되 가장 기본적인 개념을 확인하는 자세도 중요하다. 매년 간단한 계산 실수로 문제를 틀리는 상위권 학생들도 종종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자.
◇중위권
남은 시간 동안 잘 정리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믿고 꾸준히 공부해야 한다. 여러 문제집을 보기보다는 연계 교재인 수능특강 혹은 수능완성을 철저하게 이해하며, 답지를 보지 않고 혼자 문제 푸는 훈련을 해야 한다. 또한 기본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려면 교과서와 수능특강의 개념·예제를 반복 연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력평가와 모의평가 등에서 틀린 문제를 다시 한 번 살펴보고 약점을 파악하자. 계산 실수가 잦은 학생이라면 암산보다는 글씨를 써가면서 신중하게 문제를 풀어야 한다.
◇하위권
수학은 포기한 채 남은 시간을 헛되이 보낼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얼마 남지 않은 시간이라도 공부하겠다는 마음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기본 문제를 처음부터 끝까지 풀어보아야 한다. 기본 공식을 잘 모른다면 알파벳 모르고 영어 공부하는 것과 같다. 수학에서 기호의 의미를 모른다면 문제를 전혀 파악할 수 없다. 그 기본을 채워야 한다. 총 30문제 중에 2~3점짜리 14문제(총 48점)는 꼭 맞힐 수 있도록 공부해야 한다. 행렬뿐 아니라, 뒤쪽에서도 간단한 문제가 출제될 수 있다. 갖고 있는 교재의 예제만이라도 끝까지 풀어보고 시험장에 들어가자.
[김세식 풍생고 교사·EBS 수학 영역 대표 강사]
[출처-조선일보]
계산실수 자주 하는 중·상위권… 암산하지 말고 쓰면서 풀어야
수능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문제만 열심히 푸는 학생들을 자주 본다. 꼭 권하고 싶은 점은 중요한 개념을 복습하면서 공부하라는 것이다. 개념을 정확히 이해해야만 응용문제뿐 아니라 고난도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수능에서 고난도 5문제를 풀려면 나머지 25문제를 잘 풀 수 있어야 한다. 쉬운 문제를 빨리 풀려면 기본 개념이 탄탄해야 한다. 중하위권 학생들이 간과하는 점이 바로 이것이다. 남은 기간의 수준별 전략을 살펴보자.
◇상위권
학력평가와 모의평가 성적만 믿고 방심하는 것은 금물이다. 어려운 문제만 풀어서도 안 된다. 모의고사 문제를 풀어보면서 시간 안배와 고난도 문제 풀이 능력을 기르되 가장 기본적인 개념을 확인하는 자세도 중요하다. 매년 간단한 계산 실수로 문제를 틀리는 상위권 학생들도 종종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자.
◇중위권
남은 시간 동안 잘 정리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믿고 꾸준히 공부해야 한다. 여러 문제집을 보기보다는 연계 교재인 수능특강 혹은 수능완성을 철저하게 이해하며, 답지를 보지 않고 혼자 문제 푸는 훈련을 해야 한다. 또한 기본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려면 교과서와 수능특강의 개념·예제를 반복 연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력평가와 모의평가 등에서 틀린 문제를 다시 한 번 살펴보고 약점을 파악하자. 계산 실수가 잦은 학생이라면 암산보다는 글씨를 써가면서 신중하게 문제를 풀어야 한다.
◇하위권
수학은 포기한 채 남은 시간을 헛되이 보낼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얼마 남지 않은 시간이라도 공부하겠다는 마음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기본 문제를 처음부터 끝까지 풀어보아야 한다. 기본 공식을 잘 모른다면 알파벳 모르고 영어 공부하는 것과 같다. 수학에서 기호의 의미를 모른다면 문제를 전혀 파악할 수 없다. 그 기본을 채워야 한다. 총 30문제 중에 2~3점짜리 14문제(총 48점)는 꼭 맞힐 수 있도록 공부해야 한다. 행렬뿐 아니라, 뒤쪽에서도 간단한 문제가 출제될 수 있다. 갖고 있는 교재의 예제만이라도 끝까지 풀어보고 시험장에 들어가자.
[김세식 풍생고 교사·EBS 수학 영역 대표 강사]
[출처-조선일보]
'공부가 어렵네(수능 학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문화, 모의고사 매일 1회씩 풀고 법과 정치는 기본 개념정리 집중해야 (0) | 2013.11.03 |
---|---|
영어 중위권은 빈칸추론 등 취약 유형에 집중 (0) | 2013.11.03 |
국어 화법·작문, 12분 내 푸는 연습을… 지문 읽으면서 문제 해결해야 (0) | 2013.11.03 |
어린이집 영유아 11월 1~4주 조리계획서(레시피) (0) | 2013.11.01 |
11월 월간 교육계획안(0세,1세,2세) (0) | 2013.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