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모의고사 매일 1회씩 풀고 법과 정치는 기본 개념정리 집중해야
[EBS 강사들의 수능 코치 D-7]
수능 시험이 이제 딱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이전에 수능을 경험한 학생이건 아니건 긴장되고 불편한 마음은 다르지 않을 것이다. 이런 때일수록 본인의 페이스가 가장 좋았을 때를 생각하며 긍정적으로 자신감을 키워가자. 사탐 과목은 마지막 시기에 어떤 방향으로 정리하느냐가 성패를 좌우한다.
가장 많은 수험생이 선택하는 사회·문화는 표 분석 문항이 관건이 되긴 하지만 구체적인 개념을 묻는 문항 역시 정답률이 낮은 편에 속한다. 남은 기간에 표 분석의 노하우를 습득하기는 어려울 것이므로, 개념 중심으로 정리해가는 것이 필요하다. 6개 대단원을 하루 한 단원씩 정리하고, 더불어 날마다 1회씩 모의고사를 풀어가며 실전 감각을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 사회·문화 시험에서 1등급을 목표로 하는 수험생이 아니라면 시험 때 표 분석 문항은 가장 마지막에 푸는 지혜가 필요하다. 긴장한 상태에서 접하게 되는 표 분석 문항이 평소보다 잘 풀리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법과 정치는 양도 많고 내용도 어려워 수험생들이 크게 부담스러워하는 과목이다. 하지만 이를 반대로 생각해보면 양이 많은 대신 지엽적인 문제보다는 일정 정도 개념 정리가 되면 수월하게 풀 수 있는 문제가 많아진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 때문에 법과 정치는 기본 개념 정리, 기출 문제와 연계 교재를 통해 체득된 실전 감각이면 충분히 고득점이 가능하다. 그리고 출제될 주제가 많기 때문에 6월·9월 평가원 모의고사에서 기출된 주제를 피해서 출제 유력한 테마들을 선별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경제는 다른 과목들처럼 개념을 꼼꼼히 따져가며 정리할 필요성은 크지 않지만, 주요 주제별로 포인트가 되는 항목을 살펴보고, 대표적인 기출 문항을 통해 문제의 유형에 접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경제 과목은 분석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항이 출제되면 시간 배분에 실패할 수도 있다. 따라서 과도하게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항은 다른 문항을 푼 다음 해결하는 것이 유리하다.
열심히 공부하고 나서도 늘 부족한 느낌이 들게 마련이다. 마지막 일주일을 이렇게 보내고 난 후, 여러분은 수험생으로서 스스로가 해야 할 모든 의무를 다했다는 심리적 위안을 해야 한다. 이제 수능 날은 여러분이 들여온 그간의 노력에 대해 근사한 선물을 받는 날이 될 것이다. 이제 그날을 향해 당당히 걸어가자.
[윤희석 용인외고 교사·EBS 사회탐구 일반사회 대표강사]
[출처-조선일보]
수능 시험이 이제 딱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이전에 수능을 경험한 학생이건 아니건 긴장되고 불편한 마음은 다르지 않을 것이다. 이런 때일수록 본인의 페이스가 가장 좋았을 때를 생각하며 긍정적으로 자신감을 키워가자. 사탐 과목은 마지막 시기에 어떤 방향으로 정리하느냐가 성패를 좌우한다.
가장 많은 수험생이 선택하는 사회·문화는 표 분석 문항이 관건이 되긴 하지만 구체적인 개념을 묻는 문항 역시 정답률이 낮은 편에 속한다. 남은 기간에 표 분석의 노하우를 습득하기는 어려울 것이므로, 개념 중심으로 정리해가는 것이 필요하다. 6개 대단원을 하루 한 단원씩 정리하고, 더불어 날마다 1회씩 모의고사를 풀어가며 실전 감각을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 사회·문화 시험에서 1등급을 목표로 하는 수험생이 아니라면 시험 때 표 분석 문항은 가장 마지막에 푸는 지혜가 필요하다. 긴장한 상태에서 접하게 되는 표 분석 문항이 평소보다 잘 풀리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법과 정치는 양도 많고 내용도 어려워 수험생들이 크게 부담스러워하는 과목이다. 하지만 이를 반대로 생각해보면 양이 많은 대신 지엽적인 문제보다는 일정 정도 개념 정리가 되면 수월하게 풀 수 있는 문제가 많아진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 때문에 법과 정치는 기본 개념 정리, 기출 문제와 연계 교재를 통해 체득된 실전 감각이면 충분히 고득점이 가능하다. 그리고 출제될 주제가 많기 때문에 6월·9월 평가원 모의고사에서 기출된 주제를 피해서 출제 유력한 테마들을 선별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경제는 다른 과목들처럼 개념을 꼼꼼히 따져가며 정리할 필요성은 크지 않지만, 주요 주제별로 포인트가 되는 항목을 살펴보고, 대표적인 기출 문항을 통해 문제의 유형에 접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경제 과목은 분석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항이 출제되면 시간 배분에 실패할 수도 있다. 따라서 과도하게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항은 다른 문항을 푼 다음 해결하는 것이 유리하다.
열심히 공부하고 나서도 늘 부족한 느낌이 들게 마련이다. 마지막 일주일을 이렇게 보내고 난 후, 여러분은 수험생으로서 스스로가 해야 할 모든 의무를 다했다는 심리적 위안을 해야 한다. 이제 수능 날은 여러분이 들여온 그간의 노력에 대해 근사한 선물을 받는 날이 될 것이다. 이제 그날을 향해 당당히 걸어가자.
[윤희석 용인외고 교사·EBS 사회탐구 일반사회 대표강사]
[출처-조선일보]
'공부가 어렵네(수능 학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능]최종마무리 지침 10가지 살펴보니 (0) | 2013.11.03 |
---|---|
생명과학Ⅱ, 오답 노트로 마무리… 자주 출제되는 부분 집중 점검해야 (0) | 2013.11.03 |
영어 중위권은 빈칸추론 등 취약 유형에 집중 (0) | 2013.11.03 |
수학 30문항 중 2~3점짜리 14개… 기본공식 탄탄하면 풀 수 있어 (0) | 2013.11.03 |
국어 화법·작문, 12분 내 푸는 연습을… 지문 읽으면서 문제 해결해야 (0) | 2013.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