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가 어렵네(수능 학점)

수능예비소집과 시험 당일 수험생 행동요령

수능예비소집과 시험 당일 수험생 행동요령

 
수능시험(7일)이 6일 앞으로 다가왔다. 따라서 당일, 시험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결과에 엄청난 차이가 날 수 있다는 것은 모두 잘 알고 있다.

시험 보는 데도 결국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얕은 요령을 피우라는 것이 아니라 지극히 합리적인 근거로 도출된 과학적인 수험 전략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대구지역 입시전문 학원인 송원학원 진학지도실은 1일 수능예비소집과 시험 당일 수험생의 행동요령에 대해 소개했다.

◇6일 D-1일

▲되도록 예비 소집에 참가하라.

예비 소집에 꼭 참석해 시험장을 확인하고 주의사항을 들어 두는 것이 좋다. 집에서부터 시험장까지 걸리는 시간을 잘 체크해 시험 당일 허둥대지 않도록 이동 계획을 세운다. 자가용으로 이동할 경우 평소보다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교통편은 미리미리 확인하라.

집에서 시험장까지 교통편과 소요시간 등을 미리 점검하는 것도 필수다. 평소보다 시간 여유를 넉넉히 두고 최소한 20분전에 도착할 수 있도록 집에서 출발해야 한다.

▲중요 핵심사항을 마무리하라.

저녁 식사 후 지금가지 공부한 핵심사항들(교과서 중심)을 그림과 사진, 도표, 지도 등에 주의해 책 제목을 중심으로 핵심내용을 상상하면서 2~3시간 정도 넘겨본다. 절대로 무리하지 말아야 하며 암기하거나 꼼꼼히 다시 보기 보다는 그 책들의 내용을 회상시켜 보는 정도로 충분하다.

▲준비물을 미리 챙겨라.

잠자기 전에 수험표, 필기구(컴퓨터용 검정 사인펜·수정 테이프·샤프 연필·지우개 등), 주민등록증(면허증 또는 여권), 시계(핸드폰 시계는 절대 안 됨-수험장에는 없음) 등을 한 곳에 정리해 놓는다.

또 시험장에서 볼 수 있는 오답노트나 요약집도 준비해 두는 것이 좋다. 도시락을 준비할 경우 좋아하는 음식 위주로 적당량을 준비하고, 반드시 따뜻한 물과 약간의 간식을 준비한다.

▲평소와 같이 숙면을 취하라

시험 전날은 누구나 초조해지기 마련이다. 조용한 음악을 듣거나 줄넘기, 맨손체조 등으로 가볍게 몸을 풀며 긴장을 해소하도록 한다.

부담감 때문에 쉽게 잠이 들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가벼운 온수 샤워를 하고 10시 전후해서 잠자리에 드는 것이 좋다.

평소와 다름없이 숙면을 취하도록 하고, 너무 차게 하거나 너무 더워 이불을 걷어차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특히 유의한다. 이날 건강을 버리는 것은 시험을 위해 가장 불행한 일이다.

◇7일 D-DAY

<시험장 도착 전>

▲이미지 트레이닝을 하라

자리에서 일어나기 전에 우선 기분 좋은 상상을 하고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는 이미지 트레이닝을 통해 자신감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아침 식사는 평소보다 조금 적은 양을 먹어라

시험에 대한 부담으로 식사를 거르는 것은 아주 좋지 않다. 아침은 먹는 것이 유리하고 식단은 평소에 먹던 음식이 가장 좋다.

좀 적은 양을 따뜻하게 챙겨 먹는 것이 위에 부담이 없다. 습관적으로 아침을 먹지 않았던 사람은 억지로 먹을 필요는 없다.

단 학교에 가는 길에 배가 고플 수 있으니 간식거리를 챙겨서 가는 것이 좋다.

▲준비물을 최종 점검하라.

전날 밤 챙겨 놓은 가방과 수험표, 신분증, 필기구, 시계 등과 도시락 등 준비물을 최종 점검하고 최소한 20분전(7시50분)에 도착할 수 있도록 유의한다.

▲옷은 평상시 입던 편한 옷을 입어라.

옷은 평상시 입던 것 가운데 가장 편안하게 느껴지는 옷을 입는다. 시험 중에 더우면 벗을 수 있도록 가벼운 옷을 여러 겹 입는 것이 좋다. 미리 시험 전 2~3일 전부터 당일 옷차림으로 적응해 두는 것이 좋다.

▲춥게 이동하지 말아야 한다.

▲문제가 생기면 주위에 도움을 요청하라.

만약 시험장 도착 시간이 늦어질 만큼 급박한 사정이 생기면 경찰 순찰차나 119에 도움을 요청한다.

<시험장 도착 후>

▲자기 자리 확인 후 마음의 안정을 취하라

시험장에 도착해서 자기 자리를 확인하고 화장실을 다녀온다. 긴장하지 않도록 조용히 명상을 하며 마음의 안정을 취하라.

▲자신감을 가져라.

시험 직전에는 자리에 앉아 심호흡을 하며 시험문제에 위축되지 말고 자신감을 갖고 임하는 것이 중요하다. 내가 어려우면 남에게도 어려운 것이므로 편안하게 생각하는 것이 좋다. 난이도는 모든 사람들이 똑같이 느끼는 것이다.

▲요약집을 최대한 활용하라.

친구들과 시험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거나 정답을 맞추기보다는 잠시라도 요약집을 보도록 한다. 세부적인 내용보다는 큰 틀이나 흐름, 제목, 도표 등을 중심으로 중요사항을 회상하며 시간을 활용하라.

▲쉬는 시간에는 반드시 화장실을 다녀오고, 시험장 밖으로 나가 스트레칭 하고 충분하게 산소를 섭취하도록 하라

단, 친구들과 시험에 대한 이야기는 안 하는 것이 좋다.

▲시험 감독관은 도와주는 사람이다.

시험 감독관은 내 시험을 도와주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불편한 점이나 문제가 발생하면 주저하지 말고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점심시간에는 도시락을 먹는 것이 좋다

점심시간에 체하지 않도록 천천히 식사를 하고 따뜻한 물을 꼭 마신다.

▲점심식사 후에는 조금 조는 것이 머리를 맑게 한다.

가능한 아무 말도 안하고 있는 것이 좋고 약간 따듯한 것이 좋다. 오전에 벗었던 옷을 다시 입어야 한다. 아는 친구들과 같은 시험장을 쓰더라도 가능한 어울리지 않는 것이 좋다. 이렇게만 해도 2~5점의 감점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미리 알아두면 좋은 몇 가지>

▲수능 시험장 반입 금지 물품과 휴대 가능 물품

△반입 금지물품늠 휴대용 전화기, 디지털 카메라, MP3, 전자사전, 카메라 펜, 전자계산기, 라디오, 휴대용 오디오 플레이어, 시각표시와 교시별 잔여시간 표시 이외의 기능이 부착된 시계 등 모든 전자기기다.

△휴대 가능물품은 신분증, 수험표, 연필(흑색), 지우개, 답안 수정용 수정테이프, 컴퓨터용 사인펜, 샤프 연필심(흑색, 0.5㎜), 시각 표시와 교시별 잔여시간 표시 이외의 기능이 부착되지 않은 일반 시계(시각표시 기능이 없는 스톱워치, 문항번호 표시 기능이 부착된 시계는 불가)다.

연필(흑색)과 컴퓨터용 사인펜 외 필기구는 휴대할 수 없고, 신체 조건이나 의료상 필요한 물품은 매 교시 감독관의 사전 점검을 거쳐 휴대할 수 있다.

▲수험표를 분실하였을 때

수험표를 분실했을 경우 당황하지 말고 수능 시험장의 본부에 가서 재발급을 받는다. 단, 수능 원서 접수 때와 동일한 사진, 신분증이 필요하다.

<시험 요령>

▲어려운 문제에 너무 집착하지 말라

문제는 번호순으로 풀어 나가되 쉬운 문제부터 풀고 어려운 문제는 표시해 두었다가 나중에 푸는 것이 좋다.

▲문제와 지문은 반드시 끝까지 읽어라.

특히 국어와 영어 영역의 지문은 마지막 부분에 결론이 많으므로 마지막 부분은 반드시 읽어야 한다.

▲듣기 평가에는 보기를 먼저 읽어라

문제를 듣기 전에 보기만을 읽어도 묻는 내용이 장소에 관한 것인지, 사람에 관한 것인지 알 수 있어 한결 풀이가 수월하다.

▲쉬는 시간에는 정답을 맞춰보지 말라.

자신이 실수한 것을 알고 나서 실망한 나머지 다음 시험을 망칠 수도 있다. 한 시간이 끝나면 지난 시간은 일단 잊어버리는 것이 좋다.

▲문제를 풀 때 내가 어려우면 남도 어렵다고 생각하라.

알고 있는 것을 실수해서 틀리지만 않으면 성공적이라 생각하고 시험에 임한다.

▲시험 시작 5분 전에는 자리에 앉아서 마음의 준비를 하라.

자기 좌석에 앉아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히고 다음 시간의 시험에 대비한다.

▲시험 종료 10분 전에는 정답을 답안지에 옮겨 적어라.

점수는 답안지에서 나온다. 아무리 문제를 잘 풀어도 답안지 작성에 소홀하면 치명적이다. 마지막 순간에 시간이 부족해 답안지 표기를 잘못하면 돌이킬 수 없는 실수가 된다.

▲학부모는 수험생에게 부담을 주지 말라

고사장까지 따라와 ‘실수하지 말라’고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은 오히려 수험생에게 부담만 된다.

[출처-뉴시스]
 
 
[관련자료 더 보기]
 
8223  수능예비소집과 시험 당일 수험생 행동요령
8222  '수능'···시험 망치는 오해 'Top 4'
8162  수능 답안지 견본 공개
8155  수능 11월 7일, “유의사항 꼼꼼히 챙겨야”
8129  다음, EBS강좌와 입시 정보를 한 곳에 모은 ‘대입’ 서비스 오픈
8113  "수능 때 휴대전화 절대 가져가지 마세요"
8057  내달 7일 대입수능, ‘시험장 착각하면 시험 못 볼 수 있다.’
8022  수능 반입금지물품 등 숙지 '주의
8002  입학사정관전형 3대 오해와 진실
7914  “학생이 쓰면 떨어진다”… 수백만원 자소서 장사 기승
7793  [전문대 수시 전형] 전형요소 대부분 1~2개 "제한 없이 복수지원도 가능해요"
7786  [전문대학 수시모집] 수시모집으로 80.4% 선발
7739  [대입전략 3대 체크포인트] 가채점 후 9월 6일까지 A·B형 확정… 대학별 고사 일정 체크
7738  수시 전 이것만은 확인…마지막 5계명!
7737  수시 최종 지원 점검 tip
7736  수시 원서접수 유의할 점은?
7686  첫 시행 ‘A’ ‘B’ 유형 선택 신중히 수능 …영역별 학습전략은
7684  [대입성공 특강] 수시 논술 전형의 특징(수능일 이전 실시 대학)
7683  [대입성공 특강] 입학사정관 전형 분석
7682  [대입성공 특강] 학생부(학교생활기록부) 성적 반영, 비율만 보지 말고 '영향력' 따져라
7681  [대입성공 특강] 선택형 수능 영역별 특징  
7680  [대입성공 특강] 내신 고득점=학생부(학교생활기록부) 전형 합격?… 안일한 생각부터 깨라
7679  [대입성공 특강] 수능 성적 기준으로 학생부(학교생활기록부) 대비 유·불리 따져야   
7678  [대입 성공 프로젝트] (8)논술출제 경향과 대책
7677  대입 성공 프로젝트(7)논술전형  
7676  [대입 성공 프로젝트] (6) 입학사정관 전형
7675  [대입 성공 프로젝트] (6) 수시지원전략  
7674  대입 성공 프로젝트(4)
7673  [대입 성공 프로젝트] (3) 영역별 A/B형 선택방법
7672  [대입 성공 프로젝트] (2)수능시험 개편 내용과 공략법
7671  [대입 성공 프로젝트] (1) 입시 포인트
7670  [수시모집] 적성검사전형도 지원전략 필수
7669  [나에게 맞는 수시 전형은?] 내신 2~3등급 수험생 논술전형 고려해 볼만
7668  대입 수시2전형에서 당락을 결정짓는 요소는?
7667  수시 전형의 지형도 ①②
7660  EBS, 대학별 수시 입학정보 공개 서비스 제공
7659  '수시로 대학가자' 사이트 오픈
7658  6월 학력평가시험 후 대입수시 합격전략 -적성검사로 수능, 내신 뒤집기
7657  'SKY大' 등 주요대학 수시모집 어떻게 뽑나  
7656  6월 모의평가 성적으로, 성적대별 지원전략은?  
7655  '성적별 수시 전략' 9월 아닌 6월 모의평가가 기준
7654  6월 모의평가 성적은 대입 전략 수립 기준
7653  지원 기준은 백분위 성적… 중하위권은 수시 2차 노려라
7652  大入 적성전형이 '제2의 수능'으로 변질
7651  혼란기 대입, 바른 수시 사용 설명서
7650  학생부 성적 좋으면 적극적으로 ‘수시’ 지원을
7649  [대입정보 따라잡기]중위권 수험생, 대입 수시 ‘전공적성검사’ 눈여겨보길
7648  [대입] 수시 지원전략 이렇게 짜라… 6월모평 성적이 잣대
7647  [대입 전략] 9월 모의고사 가채점 결과로 수시 지원권 판단  
7646  [대입 전략- 수시] (하) 수시 지원전략, 공들인 만큼 합격가능성 높아
7645  [대입 전략-수시] (상) 올해 수시모집 66%…수시 지원은 이제 필수  
7642  수시에서는 자기 실력보다 높은 대학에 지원하라
7641  수시모집 어떻게 대비할까
7640  [대학별 수시모집 가이드] 학생부 성적, 모의수능보다 좋다면 수시 응시를
7639  [대입정보 따라잡기]수시 논술 반영 비율 꼭 점검을
7638  [수시 지원 전략·유의 사항] 모의평가 성적만 보고 하향 지원하면 손해
7637  [대입 수시 특집] 잠시만요, 대학별 수능 최저 기준·논술 비중 보고 지원하실게요  
7636  [수시전형] 달라진 수능 체계…무조건 상향 지원 '위험' 합격 가능성 높은 서너 개 전형에 집중을
7635  [수시전형] 수능 최상위권, 논술 전형 '우선선발제' 눈여겨봐라  
7634  수시 전 확인해야 할 마지막 5계명
7633  [대입 수시] 수시 지원의 5대 법칙
7632  [대입 수시] 수험생이 알아야 할 5가지 수시 상식
7631  [대입 수시] 수험생이 잘못 알기 쉬운 10가지 수시 상식
7630  [대입 수시 대비 전략] <4>수시 특기자 전형
7629  [대입 수시 대비 전략] (3)입학사정관전형
7628  [대입 수시 대비 전략] (2)학생부로 대학가기
7627  [대입 수시 대비 전략] <1>논술고사로 대학가기
7621  수시전형!! 나에게 맞는 전형은? 
7620  수시모집, ‘전략’도 ‘실력’이다
7619  [수시전형]실질 선발 인원 60% 이상… 비교과·수능 영향력 높아져
7618  수시모집 전망·대비전략
7617  앞으로 한 달, 합격하는 수시 지원 전략은?
7616  [수시] 하향지원보다 소신지원하라  
7615  대입 수시모집 앞으로 일주일… 궁금증 풀이
7614  [대입정보 따라잡기]수시모집 6회, 소신 전략 세워라  
7613  수시 지원횟수 6회 제한이 대입에 미친 영향은
7612  [大入수시] 올해도 지원 6회로 제한
7611  [大入수시 필승전략]25만명 선발 전쟁 6회 도전, 정보가 생명
7610  수시 1차 모집 내달 4~13일 접수
7609  9월4일부터 대입 수시 전형 주요 사항과 전략
7574  수능 “성적 좋으면 수시보다 정시 공략을”
7573  수능 9월 모의평가 이후 A·B형 선택하라
7546  대입 기본 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