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가 어렵네(수능 학점)

2014년 수시2차 인문 논술 대비법

2014년 수시2차 인문 논술 대비법

 

11월 7일 수능을 치자마자 9-10일에 성균관대, 서강대, 중앙대, 경희대 등 주요 대학이 논술전형을 실시한다. 16-17일에는 고려대와 한양대 등이, 그 다음 주에는 시립대와 단국대로 거의 마무리된다. 이 기간의 준비로 기본실력 자체가 향상되기를 기대하기는 힘들 것이고 유형에 적응해 합격가능성을 높이는 정도가 될 것이다. 작년까지의 경향과 올해 수시1차 경향을 참조하여 주요 대학에 대한 준비 태세를 갖춰보자. 

2014년 연세대 논술 경향 분석

연세대는 2011년 이래 다면사고형이라는 큰 틀 속에서 수험생의 허를 찌르는 변화들을 매년 시도해왔다. 연세대 유형은 다면사고형임을 공개적으로 표방하기 때문에 정해진 방향의 답이 없고 두 가지 이상의 다면적 근거를 설득력 있게 제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학교다.

  연세대 논술을 준비한 학생이라면 마르고 닳도록 연습했을 3자 비교와 도표해석이 나오지 않았다. 올해 인문 1번은 “상상, 주체, 폭력의 키워드를 모두 사용하여 공감에 대한 자기 생각을 서술하라”, 사회 1번은 “네 개의 제시문을 비교하여 개인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정도로 나타내고 근거를 제시하라”였다. 미리 결정된 답의 방향성이 있다고 생각하기보다는 논제에 맞는 서술방향을 나름대로 정하고 그 근거를 충실하게 제시하려고 해야 한다. 심지어 2010년 예시논술과 관련된 연세대측 자료에 보면 언뜻 보아 불가능해 보이는 방향도 근거에 대한 서술이 설득력 있다면 가능하다는 소개를 해놓았을 정도다. 2번에서도 도표는 빠졌지만 활용하고 분석해야 할 ‘근거’로서의 예시는 주어져 있었다. 종합해 보면 다면적인 비교 및 자료(사례) 분석이라는 큰 틀은 변하지 않았다. 다면사고라고 해서 이것저것 건드려놓기만 해서는 안 된다. 제시할 근거의 논리적 측면을 끝까지 밀어붙여 서술하는 습관이 중요하다. 

수능 이후 바로 실시하는 학교들에 대해

중앙대와 성균관대는 일정한 패턴대로 독해하고 서술하라는 학교다. 중앙대는 4자 비교하기, 성균관대는 대립되는 두 입장으로 분류하기가 각각 1번인데 연세대처럼 여러 가지 근거를 다각도로 검토하는 것이 아니라 핵심 키워드 중심으로 논지 차이를 선명하게 보여줘야 한다. 쓰는 방식도 거의 정해져 있다. 또 중앙대의 수리 논술, 성균관대의 도표해석 등도 일정한 유형이 있다. 다면적 근거를 중시하는 연세대 유형에 익숙해진 학생들은 반드시 차이점을 숙지하고 들어가야 한다.  

서강대가 연세대와 비슷한데, 조금 다르다면 다면적 접근보다는 한 가지라도 핵심 근거를 풍부하게 서술해주는 것이 더 중요한 학교라는 점이다. 경희대 역시 독특한 형식과 영어지문과 까다로운 제시문들에 적응해야 잘 쓸 수 있다. 시간 관계 상, 1-2회 기출유형을 써보는 정도의 점검이 전부다. 자기 글이 어떤 지점인지를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는 지점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수능 1주일 후에 실시하는 학교들에 대하여 

한양대 상경계열은 수리 문제의 변별력이 결정적인데, 수리 문제는 6-7개의 문제를 단계적으로 풀어나가는 문제로 정착되었다. 4-5번까지만 완벽하게 풀어도 합격한 학생이 있을 정도로 문제의 난이도가 높다. 처음에는 변수를 기호화하고 식을 세우는 문제였다가 5번 넘어가면 극한, 미분, 적분 등을 활용하는 까다로운 문제로 심화된다. 경희대 사회계열과 중앙대가 거의 수학 문제에 가까운 일정한 유형의 수리 문제를, 이화여대가 도표를 주고 계산을 통해 빈칸을 채우는 일관된 문제를 출제한다. 유형에 적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려대는 수리문제의 변별력이 큰 학교인데, 논리추론 문제냐 수학적 개념에 근거한 문제냐의 큰 틀의 변화가 교대로 있었다. 최근 2년간 연속적으로 수학적 개념을 활용한 문제가 출제되었다. 수열의 극한, 확률분포, 점화식이 그것이다. 반면 2013년 모의문제는 논리추론 문제였다. 2013년 고대 수리논술 문제는 한양대 상경계열 문제와 비슷해졌다. 3-4개의 단계적 문제도 그렇고 경제경영과 관련된 소재도 그렇다. 변별력이 크기에 올해도 이런 스타일로 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해야 한다. 논술에서 주로 출제되는 유형들과 미분/적분으로 심화될 유형까지, 또 논리추론 문제에도 최대한 적응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단기간의 준비로 독해력이 비약하거나 논리적 추론 능력이 월등해질 수는 없다. 최선을 다해 준비하면 합격의 가능성을 조금 더 높여줄 수 있을 뿐이다. ‘적응’을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기출문제를 푸는 수밖에 없고 변할 것과 변하지 않을 요소를 숙지해야 한다. 요컨대 수시2차 대비 논술 준비의 키워드는 ‘향상’보다는 ‘적응’이다.
 
[출처-내일신문]
 
[관련자료 더 보기]
 
8192  2014 논술 모의고사로 본 중앙대 논술 대비 요령
8163  2013 성균관대 수시 2차 논술 기출문제 <하>
8156  2013 성균관대 수시 2차 논술 기출문제 <상>
8138  논술특강] 국민대 인문계열 2013년 기출문항 분석
8130  논술 모의고사로 본 서강대 논술 준비 요령
8114  [수학 논·구술] 2014 한양대 자연계열 수리논술의 공략
8106  답안지 꽉 채워 썼는데 ‘0점?
8094  자신감이 중요한 논술준비 "칭찬하고 토론 분위기 조성해줘야"
8081  ‘글의 설계도’ 개요부터 짜야… 무작정 ‘쓰고 보자’는 사상누각
8058  논술, 암기보다 ‘사고연습’ 통해 재구성 능력 길러야
8044  논술 글자수 보면 답이 보인다
8033  2013 연세대 인문계열 논술 기출문제 <하>
8023  2013학년도 연세대 인문계열 논술 기출문제<상>
8004  논술특강] 연세대 사회계열 2013년 기출문항 분석
7986  논술전형 합격생의 4가지 ‘고득점’ 비결
7981  ‘3대 변수’를 잡아라
7972  논술의 기초 3원칙 ③ 개요 작성의 원칙 
7967  논술의 기초 3원칙 ② 제시문 정리의 원칙
7960  논술의 기초 3원칙 ① 문제 분석의 원칙
7948  논술, 암기보다 ‘사고연습’ 통해 재구성 능력 길러야 
7946  수시 1차 논술 이렇게 마무리하라
7941  대입논술 출제 경향·주요대학 고사 대비법
7936  [논술] 연세대 인문계 2013년 기출문제 분석
7926  [大入수시 필승전략]논술, 한 주제라도 실전처럼 제대로… 적성, 대학마다 스타일 매우 달라 유의 
7920  논술을 무찔러라
7897  논술준비 어떻게 해야 하나?
7893  반드시 짚어야 할 대입 논술전형 대비법
7887  단골 문제 '공략' 모범 답안 '필사' 인강으로 '감 유지'
7873  쉬워지는 논술… 상식 자랑 말고 핵심만 추려 적는 연습을
7862  논술 비법 간단하죠 … 핵심 주장은 앞에, 문장은 간결하게
7850  [大入수시 필승전략]논술, 한 주제라도 실전처럼 제대로… 적성, 대학마다 스타일 매우 달라 유의 
7849  논술전형, 수능 성적이 당락 가른다
7847  유황우 언어 논술 대표, 예비수험생에게 통합논술시험 준비요령 제시
7836  Q&A로 보는 논술합격 10계명
7804  ‘입시와 논술’ ⑤ 6월 평가원 이후 수시논술대비 전략 및 프로그램” 
7803  ‘입시와 논술’ ④ 2013 연고대 수시논술 합격생 인터뷰 및 합격비결 
7802  2013 연세대학교 수시논술 집중 분석 - 합격생 답안 제시
7801  “연고대 수시논술 설명회 지상 중계 2. 논술 합격 전략”
7800  연고대 수시논술 설명회 지상 중계 1. 2014 입시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