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의수능 끝, 이제 진짜 수능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주관하는 올해 마지막 모의평가가 끝났다.
9월 모평에서 목표 점수에 미치지 못했다고 실망할 필요도 없고, 목표를 달성했다고 만족할 필요도 없다. 최종 목표는 수능이므로 이번 결과에 연연하지 말고 수능 준비에 매진해야 한다.
◇목표를 확인하고 계획을 세우자
먼저 자신의 목표와 9월 모평 결과를 바탕으로 수능 학습 계획을 확인해야 한다. 이미 계획을 세웠다면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는가를 점검하고, 계획 없이 이것저것 손에 잡히는 대로 공부하고 있었다면 목표에 맞는 계획을 세워야 한다.
목표 달성을 위해 해야 할 과제부터 정리하자. 모평 결과를 분석해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약점을 어떻게 보강할 것인지, 강점을 어떻게 더 강화하고 유지할 것인지 생각해야 한다.
약점에 대한 보강이 어렵다고 판단된다면 목표하는 대학의 모집요강을 꼼꼼히 따져 집중할 과목을 선택하자. 이를 통해 남은 기간 동안 해야 할 과제를 확인하고 정리할 수 있다.
과제가 정리됐다면 자신이 공부할 수 있는 가용시간을 제대로 분석해야 한다. 잠자는 시간, 식사시간, 등·하교시간, 강의 듣는 시간(학교수업, 학원수업, 동영상강의) 등을 제외한 가용시간을 파악해 과제를 전략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수능에 출제되는 개념과 원리는 반복적으로 확인
수능에 직접적으로 출제되는 단원이 있고 간접적으로 출제되는 단원이 있다. 출제가 되는 단원의 개념과 원리는 반복적으로 보면서 잊지 않도록 해야 한다.
기초가 되는 단원의 개념과 원리 역시 출제 단원의 개념과 원리와 연계돼 자연스럽게 떠오르도록 해야 한다. 내용을 완전히 이해했다고 다시 펼쳐보지 않으면 막상 시험 때 기억이 희미해져서 낭패를 볼 수 있다.
반복해서 암기하고 기억을 체크하는 활동을 통해 시험을 치는 순간까지 온전히 자신의 지식으로 만들어야 한다.
◇상위권은 고난도 문제, 하위권은 기본 문제 대비해야
상위권 학생들은 고난도 문제 1~2문항에 의해 등급과 대학이 바뀔 수 있다. 최근 2~3년간 평가원에서 주관한 시험에서 출제된 고난도 문제를 통해서 대비해야 한다.
출제의도와 접근 방법 등을 고민하는 활동을 통해 풀이 요령을 터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 기출문제를 볼 때 2014학년도의 선택형 수능과 출제 범위, 유형 등의 차이를 감안해서 봐야 한다.
중·하위권 학생들은 EBS교재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70% 수준으로 연계되는 기본적인 문제에서 실수가 없도록 해야 한다. 그동안 풀어온 EBS교재에서 틀렸던 문제를 반복해서 풀어 보면서 틀린 원인을 파악하고 취약한 문제 유형과 개념을 확인한 후 정리하고 암기하는 것이 좋다.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김희동 소장은 "9월 모의평가 이후 수능까지 어떻게 준비하느냐에 따라 수능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남은 기간 동안 끝까지 집중력을 잃지 말고 수능에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출처-뉴시스]
9월 모평에서 목표 점수에 미치지 못했다고 실망할 필요도 없고, 목표를 달성했다고 만족할 필요도 없다. 최종 목표는 수능이므로 이번 결과에 연연하지 말고 수능 준비에 매진해야 한다.
◇목표를 확인하고 계획을 세우자
먼저 자신의 목표와 9월 모평 결과를 바탕으로 수능 학습 계획을 확인해야 한다. 이미 계획을 세웠다면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는가를 점검하고, 계획 없이 이것저것 손에 잡히는 대로 공부하고 있었다면 목표에 맞는 계획을 세워야 한다.
목표 달성을 위해 해야 할 과제부터 정리하자. 모평 결과를 분석해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약점을 어떻게 보강할 것인지, 강점을 어떻게 더 강화하고 유지할 것인지 생각해야 한다.
약점에 대한 보강이 어렵다고 판단된다면 목표하는 대학의 모집요강을 꼼꼼히 따져 집중할 과목을 선택하자. 이를 통해 남은 기간 동안 해야 할 과제를 확인하고 정리할 수 있다.
과제가 정리됐다면 자신이 공부할 수 있는 가용시간을 제대로 분석해야 한다. 잠자는 시간, 식사시간, 등·하교시간, 강의 듣는 시간(학교수업, 학원수업, 동영상강의) 등을 제외한 가용시간을 파악해 과제를 전략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수능에 출제되는 개념과 원리는 반복적으로 확인
수능에 직접적으로 출제되는 단원이 있고 간접적으로 출제되는 단원이 있다. 출제가 되는 단원의 개념과 원리는 반복적으로 보면서 잊지 않도록 해야 한다.
기초가 되는 단원의 개념과 원리 역시 출제 단원의 개념과 원리와 연계돼 자연스럽게 떠오르도록 해야 한다. 내용을 완전히 이해했다고 다시 펼쳐보지 않으면 막상 시험 때 기억이 희미해져서 낭패를 볼 수 있다.
반복해서 암기하고 기억을 체크하는 활동을 통해 시험을 치는 순간까지 온전히 자신의 지식으로 만들어야 한다.
◇상위권은 고난도 문제, 하위권은 기본 문제 대비해야
상위권 학생들은 고난도 문제 1~2문항에 의해 등급과 대학이 바뀔 수 있다. 최근 2~3년간 평가원에서 주관한 시험에서 출제된 고난도 문제를 통해서 대비해야 한다.
출제의도와 접근 방법 등을 고민하는 활동을 통해 풀이 요령을 터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 기출문제를 볼 때 2014학년도의 선택형 수능과 출제 범위, 유형 등의 차이를 감안해서 봐야 한다.
중·하위권 학생들은 EBS교재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70% 수준으로 연계되는 기본적인 문제에서 실수가 없도록 해야 한다. 그동안 풀어온 EBS교재에서 틀렸던 문제를 반복해서 풀어 보면서 틀린 원인을 파악하고 취약한 문제 유형과 개념을 확인한 후 정리하고 암기하는 것이 좋다.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김희동 소장은 "9월 모의평가 이후 수능까지 어떻게 준비하느냐에 따라 수능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남은 기간 동안 끝까지 집중력을 잃지 말고 수능에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출처-뉴시스]
'공부가 어렵네(수능 학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린이집 영 유아 9월 3~4주 조리계획서(레시피) (0) | 2013.09.15 |
---|---|
9월 모의평가 이후 대학입시 대비 전략 (0) | 2013.09.15 |
수시 때 최저학력기준 중요, 수능 준비 최선…수시 떨어지면 정시 때 유용, 내신 관리 철저 (0) | 2013.09.15 |
9월 모의평가 이후 영역별 학습전략-<사탐·과탐> (0) | 2013.09.15 |
수능 뇌과학에 따른 컨디션 조절법 (0) | 2013.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