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가 어렵네(수능 학점)

수능 나흘앞으로…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할 것은

수능 나흘앞으로…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할 것은

 
 
3일로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11월 7일)이 나흘 앞으로 다가왔다. 이제부터는 수능 전날과 수능 당일 아침, 수능 시험시간 등에 맞춰 마지막 정리와 함께 실전감각을 익히는 등 최종 리허설에 돌입해야 한다. 해야할 것과 해서는 안될 것들을 정리해봤다.

◆예비소집 혼자 차분히 다녀와라=수능 전날인 6일은 예비소집일이다. 친구들과 함께 가면 정신이 분산되고 들떠서 집중력에 방해가 된다. 혼자 차분히 다녀오는게 좋다. 시험장 분위기, 화장실 및 교실 위치, 자신의 자리 등 수능 고사장 현장 분위기를 파악하고 수능 당일 스케줄을 미리 머릿속으로 그려보는 것이 좋다.

예비소집이 끝나면 집으로 돌아가 자주 보던 책을 가볍게 읽어보며 마무리 학습을 하는 것이 좋다. 자신이 직접 정리한 영역별 핵심 요약 노트를 가볍게 읽어 보고 지난 6월, 9월 수능 모의평가의 오답노트를 정리했다면 이를 훑어보며 최근 수능 출제 유형과 접근 방법을 익히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상위권은 실수 줄이는데..중위권은 취약부분 보강에=상위권 학생은 실수를 줄이는 게 관건이다. 중위권은 영역별로 취약부분을 공부하는 게 좋다. 자주 틀리는 문제 유형을 파악하고 이 부분을 집중적으로 학습해야 한다. 하위권은 EBS 교재로 그동안 부족했던 부분을 재점검하고 실전연습을 하는 것이 좋다.

생활도 수능 당일에 맞추는 게 좋다. 1교시 시작 시각인 오전 8시 40분 국어영역 시험을 보고 이어 수학영역을 푼 다음 점심 먹고 3교시 영어영역 시험 시간인 오후 1시10분에 맞춰 듣기 연습을 하는 식이다. 국어는 비문학 관련 문제를 적은 양이라도 수능 전날까지 꾸준히 풀어 감각을 높이는 것이 좋다. 수학은 기출문제와 문제집의 오답노트에서 자주 틀리는 문제를 파악한 후 부족한 부분을 보충한다는 생각으로 집중 학습한다. 영어는 EBS 교재와 지문은 같지만 선택지가 까다롭게 변형돼 나오는 경우에 대비해 단순하게 문제 풀이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문 자체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분석에 집중해야겠다.

◆수능 전날 일찍 자고 오답노트 요약노트 등 살펴봐야=고사장에서 쉬는 시간에 가볍게 볼 수 있는 자료를 미리 챙겨 두는 것이 좋다. 쉬는 시간 20분 동안 화장실을 다녀오고 간식을 섭취하면 실제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은 5분 정도다. 주어진 5분 동안 책을 살펴본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 이 때는 책보다 요약노트를 가져가 빠르게 훑어보는 것이 기억에 오래 남고, 그 동안 알고 있던 내용을 정리하는 데도 훨씬 효과적이다.

수능 전날에는 일찍 잠자리에 드는 것이 좋다. 과도한 긴장감 때문에 잠이 오지 않을 수도 있겠지만, 수능 당일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수면이 반드시 필요하다. 따뜻한 물로 샤워하거나 잠자리를 따뜻하게 하면 몸이 편안해지며 숙면을 취할 수 있다. 숙면을 통한 컨디션 유지가 수능 당일 실력 발휘의 기초다.

◆수능 당일 간단한 식사와 이른 도착=수능 당일 아침식사는 간단히 하는 것이 좋으며, 평소에 아침을 먹지 않는 수험생도 한 수저라도 먹는 것이 좋다. 수능 고사장에는 평소보다 조금 일찍 도착해 본인의 자리를 확인하고, 의자나 책상이 불편하지는 않은 지 미리 점검하는 것이 좋다. 간식으로는 귤과 초콜릿 등을 챙겨가면 좋고 점심 도시락은 평소에 먹던 대로 준비해 가는 게 좋다. 고사장이 추울 수도 있어 무릎담요를 챙길 필요가 있다.

◆부정행위 생각도 말아야=부정행위에 대한 감시와 감독은 매년 강화되고 있다. 2013학년도 수능시험의 경우 총 153명의 학생이 휴대폰ㆍMP3 등 반입금지 물품 소지, 4교시 선택과목 응시방법 위반 및 시험 종료 후 답안작성 등의 사유로 수능시험이 무효 처리된 바 있다. 책상 위에 시험과목 내용을 기재해 부정행위를 시도한 수험생 1명도 적발돼 성적무효는 물론 다음 연도 수능 응시자격이 정지됐다.

올해도 대리시험을 방지하기 위해 원서 접수 단계부터 본인 접수를 의무화했고 시험 시작 전에 본인 확인시간을 설정해 본인 여부를 확인한다. 수능시험이 끝나더라도 대학에서 재수생 이상 및 검정고시 출신 입학생의 응시원서 원본을 시도교육청으로부터 받아 대학이 관리하는 학생 자료와 대조한다.

'반입금지 물품', 즉 시험장에 가지고 올 수 없는 물품은 휴대용 전화기를 비롯해 디지털 카메라, MP3, 전자사전, 카메라펜, 전자계산기, 라디오,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시각표시와 교시별 잔여시간 표시 이외의 기능이 부착된 시계 등 모든 전자기기를 그 대상으로 한다.

'휴대가능 물품', 즉 시험시간 중 소지할 수 있는 개인 물품으로는 신분증, 수험표, 컴퓨터용 사인펜, 수정테이프, 흑색 연필, 지우개, 샤프심(흑색, 0.5㎜), 시각 표시와 교시별 잔여시간 표시 이외의 기능이 부착되지 않은 일반 시계(스톱워치, 문항번호 표시 기능이 부착된 시계는 불가) 등이 해당된다.

◆시험시간 쉬운문제부터 떨면 안돼=어떤 시험이건 1교시가 가장 중요하다. 1교시를 망치면 그 다음 시간까지 치명적인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높다. 수능 당일도 1교시에 최고의 실력 발휘를 할 수 있도록 긴장감을 적절히 유지하고 정신을 집중해야 한다. 또, 1교시 직후에는 답을 맞춰 보지 않는 것이 좋다. 결과 확인은 4교시가 끝난 다음에 해도 늦지 않다.

1번부터 풀 생각을 하지 말고 쉬운 문제부터 풀어서 점수와 시간을 벌어 놓는게 좋다. 새로운 유형의 문제에 겁먹지 말아야 한다. 문제를 정독하여 그 속에 숨어 있는 출제자의 의도나 힌트를 적극적으로 찾아내는 것이 문제를 푸는 요령임을 명심하라. 문제가 무엇을 묻는지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문제를 여러 번 꼼꼼하게 읽어야 한다. 수학의 경우 안 풀리는 문제는 무작정 붙들고 있는다고 해결되지 않는다. 5분이 지나도 정답을 찾을 수 없다면 일단 넘어가고, 나머지 쉬운 문제부터 풀어야 한다.

4교시에 긴장이 풀려 시험을 망치는 학생들이 의외로 많다. 4교시가 시작되기 전에 다시 1교시 시험을 본다는 생각으로 의식적으로 긴장감을 상승시킬 필요가 있다. 자칫 긴장감을 놓치거나 감정 컨트롤에 실패하면 1년간의 노력이 허사로 돌아간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끝까지 최선을 다하라. 4교시 탐구영역 시험에서 좋은 점수를 받으려면 암기 관련 문제에서 최대한 시간을 벌어야 한다. 암기한 지식을 묻는 문제들을 속도감 있게 풀어내야 자료 해석문제나 새로운 유형의 문제에 시간을 집중 투자할 수 있다.

<도움말= 교육부, 메가스터디, 진학사, 이투스청솔, 하늘교육>

[출처-아시아경제]
 
 
 [관련자료 더 보기]
 

8244  수능 '연습을 실전처럼' 당일 시간표 맞춰 모의시험
8243  수능 최종 마무리와 수능 이후 학습전략은
8242  2014학년도 수능 …시험 당일 집중력 발휘하기 위해선 이렇게
8214  “수능당일 실전요령 10가지”
8213  수능 당일 시험요령은?..“1교시에 집중하고 시간조절 잘 해야”
8212  “수능 영역별 수험생이 범하기 쉬운 실수”
8211  [수능 막판 전략] 수능 …이미지 트레이닝으로 심신을 안정시켜라
8210  수능 "벼락 공부보다 컨디션 조절할때
8209  수능…SKY선배들의 막판 비법은
8208  무작정 문제풀이보단 모평 꼼꼼히 점검해봐야
8198  수능 마무리 학습 전략 4계명은
8197  벼락치기 '족강' 오히려 역효과
8196  용인고 교사들이 말하는 수능 고득점 전략
8195  [집중 공략, 수능 영역별 마무리법] ④ 탐구 영역
8194  수능 일주일 앞 공부법·컨디션 조절법 "6·9월 모평에 모두 출제된 유형 정리해야"
8193  수능 , 준비 어떻게… 낯선 문제 매달리지 말고 익숙한 것 ‘한 번 더’
8191  수험생을 위한 tip  
8183  국어·영어 EBS 교재 다시 훑고 사회 이슈 꼼꼼히 정리
8182  수능 마무리 공부와 컨디션 관리 어떻게 할까
8181  [수능]최종마무리 지침 10가지 살펴보니
8159  수능형 생활을 하자
8158  수능대박 10계명
8157  [대입 전략] 수능, 모의고사 결과 분석후 취약부분 보완해야
8151  수능 수학영역 마무리 전략 '오답 노트와 정리 노트 활용'
8150  수능 … 수험생 마무리 학습 철저히 해야
8149  수능 영역별 시간과 같은 순서로 마무리
8134  수능 보름 앞으로...' 지금 할 것에 집중하라'
8133  [수능] 내가 할 수 있고 자신 있는 것부터 생각을
8132  수능 마무리 전략, 오답노트 통해 취약점 보완
8131  “수능 막판 스퍼트가 당일 점수 좌우”..수능 마무리 전략은?
8126  수능 보름 여 앞으로…오답노트에 집중해야
8125  수능시험 문제 이렇게 풀어라
8124  수능 대비 마무리 학습 전략
8123  수능 수험생 위한 마무리 학습전략 및 조언
8110  문제를 정확히 읽고 주어진 글에 바탕해 답 찾아야
8109  수능…시험 당일 점수 올리는 법
8108  수능 승부는 지금부터
8107  [대입 전략] 정시 당락의 열쇠 '수능'에 일단 전력투구
8102  탐구영역, 정시에서 더욱 커지는 그 존재감
8101  ‘시간’ 잡으면 고득점 보인다
8100  대입, 전형자료별 마무리 학습전략
8079  작년 수능과 비슷… 개념·원리 중심으로 복습해야
8077  “상위권 고난도 문항·중위권 실수 줄이는 연습을
8072  2014 수시에 드러난 트렌드10
8071  수능 시간표 따라 문제 풀이… 취약 단원 점검하라
8070  시간 안에 문제 푸는 실전 대비 훈련하세요
8059  [수능]영역별 마무리 공부 이렇게…
8053  수능 코앞으로… 흔들리지 말고 굳세게 가라  
8052  수능 타임교육이 소개하는 8가지 관리법
8051  수능… 마무리 학습전략 어떻게?
8031  수험생, 시험 당일 좋은 성적 내려면
8030  수능 마무리 학습전략은 
8028  실전대비 마무리 학습전략 세워야  
8027  수능, 효율적인 마무리는?
8026  [수능] 마무리 학습 결국 '선택과 집중'의 문제다
8025  교과 공부만 충실땐 선택폭 좁아…자신만의 전략 마련을
8024  수능 마무리 전략…취약점 파악→수준별 학습→컨디션 조절  
8019  틀린 문제, 고난도 문항 확실히 잡아야 등급 지켜낸다
8018  수능 필승을 위한 '럭키 세븐' 마무리 비법
8017  수능 막바지, 유형별 새 문항 익히고 오답노트 점검
8016  수능] 영역별 정해진 시간 내 풀기 연습을
8014  수능 막판뒤집기를 위한 'TO DO LIST 10'
8013  "밤샘공부 피하고 실전감각 익혀야"
8001  새로운 것보다는 익숙한 참고서로 차분히 정리를
8000  수능 …균형 유지하며 실전감각 익혀라
7999  [수능]막판 성적 높이기 7대 전략
7998  EBS 비연계 빈칸 추론 3점짜리 문제를 잡아라
7997  수준별 수능 끝내기 학습 전략 
7993  [집중 공략, 수능 영역별 마무리법] ③ 영어 영역
7992  [집중 공략, 수능 영역별 마무리법] ② 국어 영역
7991  [집중 공략, 수능 영역별 마무리법] ① 수학 영역
7990  수능 마무리 전략… “한달 만에 외국어 점수 올리기”
7989  수능 영어학습의 일반론
7985  수능 한달 막판 마무리 전략
7984  수능시험, 학습전략 이렇게…
7983  수능 마무리 전략 이렇게
7964  수능의 태양이 떠오르기 까지… ‘D-30’ 
7963  수능 D-30 어떻게 공부할까
7962  수능 “아직 포기하긴 이르다”
7961  수능 D-30일 대비 전략
7959  9월 수능 모의고사 결과 발표…약점 보완 마지막 기회
7958  10월 모의고사 "등급컷에 연연할 필요 없다
7957  10월 모평 '쉬워', 영어 등급컷 오를 듯...'일희일비 말아야'
7956  수능 외국어 영역 1등급 올리는 전략
7954  수능 D-30일 기간 안에 꼭 마무리해야 할 Best 5 학습 전략
7953  수능 성적대별 수험생 준비 전략
7945  상위권 수험생들의 남은 기간 학습 전략
7940  '수능 기적' 바라려면 철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7938  수능 실전을 위한 파이널 전략
7937  수능 마무리 학습
7935  평가원 "본 수능에서도 6·9월 모의평가 난이도 유지
7934  유황우 언어 논술 대표가 말하는 국어 내신 학습법
7933  수학인강 스타강사 세븐에듀 차길영 대표, '수능 대비' 기억력 증진법
7932  D-30, 풀이 시간 줄이기 연습을… D-10, 기출 문제 집중 공략하라
7925  모의고사 결과는 잊어라…자신의 약점 찾는 기회로 
7924  [대학가는 지름길] 40여일 남은 수능…마무리 전략 이렇게
7919  수시·수능 함께 잡을 방법은? '선택과 집중'
7918  대학별 출제 범위 체크… 고 1 수학 등 공통 단원부터 공부
7917  수학 마무리는 개념 정리가 우선이다
7916  수능 고득점 공략, 국어 지문독해·영어는 빈칸 추론
7896  영역별 출제 경향 잘 파악해 철저한 준비를
7895  [수능] “등급하락 예상하고 전략 짜야”
7892  영역별 강·약점 보완에 집중 ‘수능 계획’ 짜라
7891  수능 전 최종 과목별 막바지 전략
7889  재수생 수능 마무리, 학원서 공부 패턴 유지해야
7886  유황우 언어 논술, 2014 대입 수능 마무리 학습 전략 제시
7885  메가스터디 대입성공 특강 | 수능 마무리 학습 전략
7884  스타강사 세븐에듀 차길영 대표, 수능 수학영역 대비법
7872  “이제는 마무리할 때…취약 단원·유형 집중공략
7871  수능 … 수준별 학습전략  
7870  수능 …성공적인 마무리 학습전략은
7869  2014 수능대비 마무리 학습전략
7868  대학수학능력시험 ,성공적인 마무리 학습 전략은?
7867  [수능]자투리 시간 활용법…버스 안에서 영어듣기  
7866  수능 "전 범위 볼 여유 없다… 이제는 취약단원 집중 공략 시기"
7846  [수능]성적별로 공부법은 다르게…
7845  [수능]'고득점 받아라~' 마무리 학습법 이렇게
7844  수능 성적별로 공부법은 다르게…
7843  수능 마무리 학습전략 이렇게
7842  수능 … 新유형·고난도 문제 꼼꼼히 봐야
7826  [수능] 마무리 학습전략 십계명
7825  수능 ‘집중’과 ‘선택’이 필요한 때
7824  [수능] 수준별로 본 마무리 학습 ③ 하위권 수험생
7823  [수능] 수준별로 본 마무리 학습 ② 중위권 수험생
7822  [수능] 수준별로 본 마무리 학습 ① 상위권 수험생
7821  [수능] 과학탐구 마무리 학습
7820  [수능] 사회탐구 마무리 학습
7799  [두달 남은 수능 영역별 대책] "모의평가 분석해 기본 개념·원리 중심으로 마무리 공부해야" 
7798  모평(모의평가)은 스파링일뿐…실전용 ‘시계’ 를 준비하라  
7797  9월 모의평가 이후의 학습 전략
7796  9월 모의고사를 통해 본 수능 대비 학습법 ③ 영어 영역
7795  9월 모의고사를 통해 본 수능 대비 학습법 ② 수학 영역
7794  9월 모의고사를 통해 본 수능 대비 학습법 ① 국어 영역
7792  추석 연휴, 수능 D-50 수험생 7계명
7791  수능 앞둔 고3수험생, 추석명절 이렇게 보내면
7790  수능 D-50일…추석연휴 수험생 학습 '이렇게'
7789  고3 수험생, 추석연휴 어떻게 보낼까
7788  수능 D-50일 앞둔 추석, 수험생 학습 전략
7787  수능 … 수험생 추석 쉴틈 없다
7776  “수시에 ‘올인’하지 말고 정시 대비해 공부하라” 
7775  [전문가 진단] "수시 지원을 수시 합격으로 혼동말라"
7765  수능 약점 보완 마지막 기회, 가채점 바탕 수시전략 짜야 
7764  9월 모의평가 이후 대학입시 대비 전략
7763  "모의수능 끝, 이제 진짜 수능이다"
7762  수시 때 최저학력기준 중요, 수능 준비 최선…수시 떨어지면 정시 때 유용, 내신 관리 철저
7761  9월 모의평가 이후 영역별 학습전략-<사탐·과탐>
7759  수능 전 최종 과목별 막바지 전략
7757  9월 모의평가 이후 입시전략은…A/B형 갈아타나
7756  9월 모의평가 이후 영역별 학습전략-<국·영·수>
7749  [대입 전략] 9월 수능 모의평가 이후 체크 포인트
7748  수능 … 과목별 마무리 전략은
7747  수능 영역별, 유형별 학습전략⑤ 과학탐구 영역
7746  수능 영역별, 유형별 학습전략④ 사회탐구 영역
7745  수능 영역별, 유형별 학습전략③ 영어영역
7744  수능 영역별, 유형별 학습전략② 수학영역
7743  수능 영역별, 유형별 학습전략① 국어영역
7740  (수능) 성공적 마무리 전략은?
7735  9월 모의평가 이후 수시 지원전략
7734  <수능> 시간안배로 효율성·실전 감각 'UP'기사내보내기
7733  [수능] 학습효과 극대화를 위한 24시간 활용 전략
7732  수능, 마무리 학습 전략 BEST 7
7731  수능 …영역별 학습전략은
7730  수능 체크포인트
7724  [수능 마무리 전략 어떻게…] 막연한 기대감 금물… 구체적 목표 점수·학습 계획 세워라 
7723  성공 마무리 위한 공부법 
7722  '수능+논술' 로 마무리 공부 능률 높여라!
7721  [수능] 최고의 결실을 얻기 위한 학습법은?
7720  [수능 영역별학습]수학-시간안배…영어-듣기비중 확대를  
7719  수시 최종 지원을 위한 8가지 점검 팁 
7718  [수능] 국어 영역의 마무리 학습 전략
7717  [수능] 수학 영역의 마무리 학습 전략
7716  [수능] 영어 영역의 마무리 학습 전략
7715  [수능 영역별 학습 포인트] '빈칸 추론' 문제가 영어등급 좌우… 틀린 문제 '확인 또 확인'
7714  수능, 고득점 학습전략은?
7711  [대입전략 3대 체크포인트] 가채점 후 9월 6일까지 A·B형 확정… 대학별 고사 일정 체크 
7710  [수능수준별학습]상-실수줄이기…중-틀린문제 반복을
7709  [수능] 영역별로 알아본 마무리 학습법 ③영어영역
7708  [수능] 영역별로 알아본 마무리 학습법 ②수학영역
7707  [수능] 영역별로 알아본 마무리 학습법 ①국어영역
7704  수시 논술전형에서 합격하기 위해 꼭 갖춰야 할 능력 - 자기 검증
7703  수시 논술전형, 수능이 당락 가른다는 게 사실인가요
7702  논술 실력은 입학사정관제 합격의 기초
7701  [대입 수시] 인문논술 지망 대학 선정 기준
7700  논술과 적성, 내게 맞는 수시 공략하기
7695  [수시모집] 적성검사전형도 지원전략 필수
7694  ‘인서울 수시’, 이젠 논술 공부 없이는 힘들다 
7693  수준별 수능 대비 어떻게  
7692  수시 논술과 입학사정관제전형 변화추이 읽어야
7688  수능 목표 달성을 위한 5계명
7687  지피지기면 백전백승…대학별 논술유형 꼭 살펴야
7604  수능 대비전략
7603  수능 효율적인 마무리 전략은
7597  수능 마지막 기회! 기출문제 풀이에 몰두를
7593  수능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7592  수능 마무리 학습전략은
7584  수능 수험생의 스마트한 여름 나기
7583  [수능] 고득점 마무리 전략 10계명은…
7581  수능 최고의 선생님이 제안하는 국어영역 만점 전략! 
7580  [수능 마무리 전략] 여름방학 때 영역별 취약 단원 집중보완을
7570  수능 시간안배로 효율성·실전 감각 'UP'
7569  수능 마무리 전략은.. 국영수 A·B형 따져 ‘유형별 맞춤’ 공부를
7562  마무리 학습전략 베스트 7
7547  “수능이 코앞, 중요한 것은 ‘마무리 학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