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가 어렵네(수능 학점)

수시모집 어떻게 대비할까

2014학년도 수시모집 어떻게 대비할까  

 
 


6월 모의고사 4개영역 평균등급이
3등급 이내면 논술 전형
4~6등급이면 적성 전형

대학·전형에 따라 수능 최저학력기준 통과가 큰 변수
성적 추이 반영해 소신·적정지원 비율 2대4가 합리적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대학입학전형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2014학년도 수시모집 요강 주요 사항'을 지난 11일 발표했다. 이번 수시모집 인원은 4년제 대학 총 모집인원 37만 8,971명의 66.4%인 25만 1,608명이다.

2014학년도 대입의 가장 큰 변화는 수능시험이 국어, 수학, 영어의 경우 수준별 수능(A·B형)으로 실시되는 것과 탐구영역 과목 선택이 종전 3과목에서 2과목으로 줄어든 관계로 수시모집에서 대학 및 전형에 따라 수능 최저학력 기준 통과가 큰 변수가 되는 점이다. 이러한 점을 제외하면 대체로 모집시기별 전형 방법이나 수시 지원 횟수가 6회로 제한되고 등록과 관계없이 수시 충원합격자(추가합격자)도 정시 지원을 할 수가 없다는 점은 전년도와 동일하다.

이투스청솔교육평가연구소 오종윤 평가이사는 “수시 합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능 등급 조건이 지원 대학 기준에 도달해야 되고, 지원 대학별로 고사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학생부 교과 성적을 상대적으로 파악하여 지원 전형에 맞추어 어느 정도 수준인지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첫째, 수시 지원 대학을 정할 때는 6월 모의고사 성적이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된다. 정시 지원 가능 대학(합격선)을 정하면 이를 가늠자로 적게는 3개 대학, 많게는 6개 대학 정도를 정하고, 자신의 학생부 성적과 대학별 고사 준비 정도 등을 체크하여 최종 지원 대학, 전형, 모집단위를 선택하면 된다.

둘째, 수능 모의고사 성적별로 4개 영역 평균 등급이 3(등급) 이내이면 논술 전형을, 4~6등급이면 적성 전형이 합리적인 지원이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인문계는 6월 모의 수능 기준으로 국수영 평균 3.0등급, 자연계는 국수영탐 평균 3.5등급이 지원 하한선이 될 것으로 본다. 이러한 이유는 현재 수시 전형에서 논술 고사를 치르는 대학 가운데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일반선발 기준으로 대체로 2개 영역 2등급 이내를 요구하고, 가장 낮은 정도로 보아도 1개 또는 2개 영역 이상 3등급 이내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셋째, 전형별로는 평소 수능 모의고사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은 수시 논술 중심의 일반전형과 정시까지 대비하는 전략이 중요하고, 학생부 교과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은 수시 학생부 중심의 전형과 수시 일반전형에 목표를 두어 준비한다. 학생부 중심 전형의 경우 주요 교과 평균성적이 서울 지역 상위권 대학은 인문계 1.3등급 이내, 자연계는 1.5등급 이내가 현실적인 합격선으로 보인다. 서울 지역 중위권 대학은 인문계 1.5~1.7등급 이내, 자연계는 1.8~2.0등급 이내, 서울 소재 대학 지원선은 인문계 2.5등급, 자연계는 2.7등급 이내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2차 추가합격자들의 성적 추이를 보면 처음보다 0.5등급까지 내려간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학생부 교과 성적이 2.5등급 이내에 들면 학생부 중심 전형도 신중하게 고려해 보아야 한다.

넷째, 전형요소별로 (모의)수능성적이 학생부 성적보다 우수하면 주로 수능 후 치르는 전형에 치중하고, 그 반대이면(학생부 성적이 수능성적보다 우수) 수능 전 치르는 전형에 치중한다.

다섯째, 모의수능 성적 추이가 오르는 경우(성적 상승 추이)이면 소신 지원 중심으로, 성적이 유지(정체) 또는 하락인 경우이면 적정 지원에 중심을 두고 지원 대학을 정하도록 한다. 요즘은 수능 전에 실시하는 수시 1차 전형과 수능 후에 실시하는 수시 2차 전형이 엄격하게 나누어져 있지는 않지만 종전 기준으로 보면, 일반적으로 수시 1차에 1번은 소신 지원, 다른 1번은 적정 지원, 수시 2차에 1번은 소신 지원, 다른 3번은 적정 지원하여 소신 대 적정의 비율을 2대4로 지원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다만, 성적 추이가 오르는 경향이면 수시 2차 지원 시 두 번은 소신, 두 번은 적정 지원을 할 수가 있다.

여섯째, 원서 모집시기별로는 수시 1회차(수능 전 9월 원서접수 및 전형) 지원 시 4∼6회, 수시 2회차(수능 후 11월 전형) 지원 시 1∼2회 정도의 지원이 합리적이다. 수시 1회차와 2회차 지원 비율의 경우 상위권 학생들은 6대0, 2∼3급대 이상 중상위권 이상 학생들은 5대1, 4∼5등급대 중위권 학생들은 4대1로 원서접수를 하는 것이 무난할 것으로 예상된다. 6∼7등급대 이하 하위권 학생들은 전문대를 포함한 원서 지원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서울 주요 상위권 대학들은 수시 1회차에 원서접수를 모두 할 것으로 보여 6회 지원을 다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중위권 이하 대학들은 수시 2회차 원서접수 기간에도 일부 전형에 대하여 원서접수를 실시하기 때문이다.

이와 별도로 입학사정관 전형에 맞추어 준비가 되어 있는 학생들은 서류 대비를 철저히 하여 교과성적이나 수능성적의 불리함을 극복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된다.

[출처-강원일보]
 
 
[관련자료 더 보기]
 
 
7640  [대학별 수시모집 가이드] 학생부 성적, 모의수능보다 좋다면 수시 응시를
7639  [대입정보 따라잡기]수시 논술 반영 비율 꼭 점검을
7638  [수시 지원 전략·유의 사항] 모의평가 성적만 보고 하향 지원하면 손해
7637  [대입 수시 특집] 잠시만요, 대학별 수능 최저 기준·논술 비중 보고 지원하실게요  
7636  [수시전형] 달라진 수능 체계…무조건 상향 지원 '위험' 합격 가능성 높은 서너 개 전형에 집중을
7635  [수시전형] 수능 최상위권, 논술 전형 '우선선발제' 눈여겨봐라  
7634  수시 전 확인해야 할 마지막 5계명
7633  [대입 수시] 수시 지원의 5대 법칙
7632  [대입 수시] 수험생이 알아야 할 5가지 수시 상식
7631  [2014 대입 수시] 수험생이 잘못 알기 쉬운 10가지 수시 상식
7630  [대입 수시 대비 전략] <4>수시 특기자 전형
7629  [대입 수시 대비 전략] (3)입학사정관전형
7628  [대입 수시 대비 전략] (2)학생부로 대학가기
7627  [대입 수시 대비 전략] <1>논술고사로 대학가기
7621  수시전형!! 나에게 맞는 전형은? 
7620  수시모집, ‘전략’도 ‘실력’이다
7619  [수시전형]실질 선발 인원 60% 이상… 비교과·수능 영향력 높아져
7618  수시모집 전망·대비전략
7617  앞으로 한 달, 합격하는 수시 지원 전략은?
7616  [수시] 하향지원보다 소신지원하라  
7615  대입 수시모집 앞으로 일주일… 궁금증 풀이
7614  [대입정보 따라잡기]수시모집 6회, 소신 전략 세워라  
7613  수시 지원횟수 6회 제한이 대입에 미친 영향은
7612  [2014 大入수시] 올해도 지원 6회로 제한
7611  [大入수시 필승전략]25만명 선발 전쟁 6회 도전, 정보가 생명
7610  수시 1차 모집 내달 4~13일 접수
7609  9월4일부터 대입 수시 전형 주요 사항과 전략
7604  수능 대비전략
7603  수능 효율적인 마무리 전략은
7597  수능 마지막 기회! 기출문제 풀이에 몰두를
7596  [수능│마무리 학습전략 수립해야] 연계율 70% EBS교재 적극 활용
7593  수능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7592  수능 마무리 학습전략은
7584  수능 수험생의 스마트한 여름 나기
7583  [수능] 고득점 마무리 전략 10계명은…
7581  수능 최고의 선생님이 제안하는 국어영역 만점 전략! 
7580  [수능 마무리 전략] 여름방학 때 영역별 취약 단원 집중보완을
7574  수능 “성적 좋으면 수시보다 정시 공략을”
7573  수능 9월 모의평가 이후 A·B형 선택하라
7570  수능 시간안배로 효율성·실전 감각 'UP'
7569  수능 마무리 전략은.. 국영수 A·B형 따져 ‘유형별 맞춤’ 공부를
7563  시험날 맞춤 생체시계 조절법 익혀라
7562  마무리 학습전략 베스트 7
7554  점수대별로 알아본 EBS 강의 활용법
7547  “수능이 코앞, 중요한 것은 ‘마무리 학습’”
7546  대입 기본 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