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가 어렵네(수능 학점)

[수능│마무리 학습전략 수립해야] 연계율 70% EBS교재 적극 활용

[수능 D-100 │마무리 학습전략 수립해야] 연계율 70% EBS교재 적극 활용


수준별 수능, 입시판도 변화 … 6·9월 모평 기출문제도 중요

 

30일이면 2014학년도 수능 시험일(11월 7일)이 100일 앞으로 다가온다. 지금부터 수험생들은 좋은 결과를 만들기 위한 마무리 학습전략을 세워야 한다. 특히 올해는 수능체제 개편에 따른 국어·수학·영어영역의 수준별(A/B형) 시행에도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

 

◆A/B형 선택, 신중해야 = 2014학년도 수능은 예년과 다르게 국어·수학·영어영역을 수준별(A/B형)로 시행되므로 지난해와 전혀 다른 입시 판도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 수험생은 6·9월 수능 모의평가 분석을 통해 신중하게 A/B형을 선택해야 한다. 지난 6월 모의평가 기준으로 문과 2등급 이상은 국어B, 수학A, 영어B 영역을, 이과 3등급 이상 수험생은 국어A, 수학B, 영어B 영역을 9월 모의평가와 수능에서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이보다 성적이 낮은 수험생은 영역별 A/B형 선택에 더욱 신중을 기해야 한다. 중위권 이하 대학은 A/B형 어떤 유형을 선택하더라도 지원이 가능하며 A형이 B형보다 표준점수, 백분위 성적이 높게 나와 유리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한 입전문가는 '중위권 이하 수험생들은 자신의 최종 수능 응시 영역 선택을 냉철하게 판단해야 한다"며 "다만 최종 결정은 아직 성적을 올릴 수 있는 시간이 충분히 남아 있기 때문에 9월 모의평가 이후로 미뤄놓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변형 문제 해결해야 = 남은 100일 동안 EBS 교재와 강의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발표에 따르면 2014학년도 수능에서도 EBS와 연계율이 70% 수준으로 유지된다. 실제로 지난 6월 모평의 EBS 연계율 역시 70% 수준이었다. 즉, EBS 교재와 강의가 수험생에게 이정표라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EBS 문제와 동일한 문제가 출제되는 것이 아닌 문항을 통합하거나 지문을 재구성하는 등 다양하게변형되므로 단순하게 외우는 방식은 피해야 한다.

이번 6월 수능 모의평가는 국어,수학,영어 영역에서 A/B형 구분 출제가 된 첫 시험이다. 이때문에 출제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도 A/B형간 난이도 조절에 상당히 고심했다. B형의 경우 EBS 연계문항도 변형된 유형이 다수 포함돼 있어 지문에 대한 심화학습이 되어 있지 않은 수험생은 어려움을 느꼈다. 특히 영어영역 지문의 경우 A형은 실용 소재를, B형은 기초 학술 소재를 주로 활용해 A/B형 간 난이도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났다. 수험생들은 모의평가에서 나타난 출제경향을 꼼꼼히 분석해 남은 기간 EBS 연계 문항 변형 출제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

국어와 영어영역의 경우, 문제는 변형 출제된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EBS 교재의 문제 자체를 학습하기보다 지문과 제재를 꼼꼼히 분석해야 한다. 수학영역의 경우는 원리와 개념에 충실한 학습이 제일 중요하다.

 

◆비연계 30%, 고득점 열쇠 = EBS 교재가 수능의 70%를 가리키는 이정표라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주관한 6·9월 모평 기출문제는 나머지 30%를 가리키는 이정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모평 기출문제들은 많은 자원과 노력을 투입해서 개발한 문제로 문제해결에 종합적이 사고력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 30%에 대비하기에 적합하다. 단, 출제된 문제는 다시 나오지 않기 때문에 단순히 기출문제를 풀어보고 답을 아는 것에서 멈추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 문항의 출제 의도와 접근방법을 고민하는활동을 통해 자신에게 부족한 부분을 확인하고 이를 보완하는 것이 중요하다.

 

◆취약과목 포기 신중해야 = 수능이 가까워질수록 자신이 취약한 영역을 포기하려는 수험생들이 많아진다. 취약 영역을 포기하고 나머지 영역에 집중해 수능을 준비하는 것은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준비하는 수능 영역이 줄어들면 지원할 수 있는 대학도 줄어들기 때문에 대학 모집요강을 꼼꼼히 따져보고 결정해야 한다. 또 포기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얼마나 높은 성적을 얻을 수 있는지도 고려해봐야 한다. 대학 합격에 수능 성적 외 다른 변수가 없다고 가정한다면 '4개 영역을 반영하는 대학'과 '3개 영역만 반영하는 대학' 중 합격 평균 성적은 '3개 영역 반영 대학'이 더 높다. 4개 영역 모두 높은 학생보다는 3개 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학생들이 더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 영역을 포기한다면 집중해서 준비하는나머지 영역은 기존보다 더 높은 성적을 얻을 수 있어야 한다.

한 입시전문가는 "목표 대학의 모집요강을 살펴보고 취약영역을 포기해도 유리하다는 확고한 믿음이 있다면 취약영역 포기에 도전해 볼 수 있다"며 "그러나 실패하는 경우 대안이 별로 없다는 점을 유의해야한다"고 말했다.


[출처-(주)내일신문 ]

 

 

 

관련자료 더 보기

 

7593  수능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7592  수능 마무리 학습전략은 
7584  수능 수험생의 스마트한 여름 나기
7583  [수능] 고득점 마무리 전략 10계명은…
7581  수능 최고의 선생님이 제안하는 국어영역 만점 전략!
7580  [수능 마무리 전략] 여름방학 때 영역별 취약 단원 집중보완을
7574  수능 “성적 좋으면 수시보다 정시 공략을”
7573  수능 9월 모의평가 이후 A·B형 선택하라
7570  수능 시간안배로 효율성·실전 감각 'UP'
7569  수능 마무리 전략은.. 국영수 A·B형 따져 ‘유형별 맞춤’ 공부를
7563  시험날 맞춤 생체시계 조절법 익혀라
7562  마무리 학습전략 베스트 7
7554  점수대별로 알아본 EBS 강의 활용법

7547  “수능이 코앞, 중요한 것은 ‘마무리 학습’”
7546  대입 기본 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