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가 어렵네(수능 학점)

차례상 차리는 방법 와 지방쓰는 방법

어설픈3단 2013. 2. 6. 00:42

차례상 차리는 방법 와 지방쓰는 방법 

 

명절에 빠지지 않는 의식행사로 바로 차례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절사(節祀)라고 하는데요,

 

<가례>에 나타나는 제례 중에서 참례(參禮)와 천신례(薦新禮)가 관행의 차례에 해당합니다. 우리 나라의 명절 중에서 차례를 가장 많이 지내는 명절은 설과 추석인데요, 우리의 소중한 전통이 담겨있으며 조상님들께 예를 올리는 차례상을 올바르게 차리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차례상을 차리는 방법은 지역(지방)마다, 집안마다 조금씩 차이가 나고, 보통은 집안의 전통을 따르는 것이 관례이지만 오늘은 보편적인 설날차례상차리는 다섯열로 나누어 차리는 5열 상차림 입니다. 설날차례상차리는 방법과 지방쓰는 방법에 대해서 차근차근 알려드리겠습니다.

 

 

1. 설날 차례상 차리는 방법

 

1번줄 : 신위

반서갱동(飯西羹東) - 메는 서쪽, 갱은 동쪽고서비동(考西妣東) - 신위, 메, 갱, 술잔을 높을 때 아버지 것은 서쪽, 어머니 것은 동쪽 술잔과 송편을 놓는 줄 앞에서 볼 때 떡국(송편)은 우측 술잔은 좌측시접(수저를 높는 빈 대접)은 단위제(한분을 모신)의 경우에 앞에서 볼 때 왼쪽 위치양위합제(두분을 모신)의 경우에는 중간, 퇴주 그릇과 술 등은 제사상 오른쪽에 별도의 상에 올립니다.

2번줄 : 전/적

동두서미(東頭西尾) -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보통 3적으로 육적(肉炙 : 고기류 적), 어적(漁炙 : 생선류 적), 소적(素炙 : 두부, 채소류 적)의 순서적(炙) : 생선이나 고기, 채소 따위를 대 꼬챙이에 꿰어서 양념하여 굽거나 번철에 지진 음식전(煎) : 재료를 얄팍하게 썰어 밀가루를 묻힌 다음 번철에 기름을 두르고 지진음식(부침개)

3번줄 : 탕어동육서(魚東肉西) - 보통 세 개의 탕을 육탕(肉湯 : 육류 탕), 소탕(素湯 : 두부, 채소류탕), 어탕(漁湯 : 어류탕)의 순으로 놓습니다. 탕을 다섯 개 올릴 경우에는 봉탕(닭, 오리탕), 잡탕 등을 더 올립니다.

4번줄 : 반찬

좌포우혜(左脯右醯) - 좌측 끝에는 포(북어, 대구, 오징어포), 오측 끝에는 식혜류(수정과) 중간은생동숙서(生東熟西) - 김치는 동쪽, 나물은 서쪽(숙주나물, 무나물순)

5번줄 : 과일

조율이시(棗栗梨柹) - 좌측부터 대추, 밤, 배,(사과), 감(곶감)의 순서홍동백서(紅東白西) -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 과일 줄의 끝에는 과자류

 

※ 설날 차례상 준비시 유의할점

1) 복숭아와 삼치, 갈치, 꽁치 등 끝에 '치'자가 든 것은 쓰지 않는다.

2) 고춧가루와 마늘양념을 하지 않는다.

3) 붉은 팥은 안쓰고 흰고물로 쓴다.

 

 

2. 지방쓰는 방법

명절에 지내는 차레는 물론이고, 조상님들께 제사를 지낼때 꼭 필요한 것이 지방(紙榜)입니다. 지방은 신주(神主)를 모시고 있지 않는 집안에서 차례나 기제사에 종이에 써서 모신 신위(神位)를 말하는 것으로 옛날에 일반 서민이나 가정에서는 사당이나 위채가 없는 곳이 많았기 때문에 제사를 지낼 때 위패대신에 제삿상위에 임시로 종이에 적어 올려 두었던 것이 오늘날 까지 이어지고 있는 지방입니다.

 

매번 지방을 쓸때마다 헷깔려서 곤란한 적이 한두번이 아니셨을 텐데요, 지방쓰기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려드리면 지방은 폭 6cm 정도, 길이가 22cm 정도가 적당하며 한지(백지)를 사용합니다. 고위(아버지)를 왼쪽, 비위(어머니)를 오른쪽에 쓰며, 한 분만 돌아가셨을 경우에는 중앙에 쓴다.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제주)의 관계를 적고, 고인의 직위를 적고, 고인의 이름을 적고, 마지막에 신위라고 적습니다.

 

※ 아래 그림은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김해김씨 지방쓰기의 예시입니다. 참고하세요 ^-^

 

 

1) 고조부모님 지방쓰는법
 

2) 증조부모님 지방쓰는법

 

3) 조부모님 지방쓰는법

 

4) 부모님 지방쓰는법

 

 

 

= 관련자료 자세히=

 

 6773  차례상 차리는 방법 와 지방쓰는 방법 
 6772  설날 이야기 
 6771  설날 드리는 차례(祭禮)의미는 
 
6770  설날 차례상 차리기 
6769  설 차례상을 파헤쳐본다 ~  
6768  차례상 차리기 와 차례지내는 순서 
 
 6767  우리 아이 예의바르게 설날 세배하는 방법 
 6766  세배하는 법~ 
 6765  새해를 맞이하며, 어른들께 올바르게 세배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