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Ⅰ, 천체 단원이 중요…Ⅱ에선 지각·지질 등 개념 정리해야
![]() |
박남정 개포고 교사·EBS 과학탐구 지구과학 대표강사 |
개정 지구과학 교육과정은 기존의 지구과학Ⅰ·Ⅱ에서 다룬 개념, 지구과학Ⅰ·Ⅱ에서 이동한 개념(천체 좌표계, 연주 시차 등), 새로 추가된 개념(환경오염, 은하의 구조와 회전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개정 전 지구과학Ⅰ·Ⅱ에서 다룬 개념은 기존 평가원 기출 문제를, 새로 추가된 개념은 교육과정에서 충실하게 출제되므로 교과서를 활용하도록 한다. 또 6월과 9월 모의평가의 출제 경향을 파악하도록 한다. 이 기간에 기출 문제를 다시 보면 처음 학습할 때보다 출제 경향이 더 잘 보이기 마련이다.
과학 탐구의 경우 수능 연계는 '수능특강-수능완성' 2단계 연계이다. 수능 전에 연계 교재의 문제 풀이가 모두 끝나야 심리적으로도 안정이 된다. 연계 교재 학습을 모두 끝낸 경우에는 교재에서 다시 봐야 할 자료와 보기, 내용을 점검한다.
지구과학뿐 아니라 과학 탐구에서는 그림·그래프·도표가 주어지는 자료 해석 문제가 대부분이므로 개념과 함께 관련 자료를 분석해 정리하도록 한다. 시간을 정해놓고 실전 모의고사(수능완성, 7030 파이널)를 풀어보도록 한다. 모의고사를 풀 때는 시간을 25분으로 잡아 실전에서 검토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연습해둔다.
①지구과학Ⅰ: 승부수는 천체 관련 단원
지구과학Ⅰ에서 개정 후 새로 도입됐고, 난도가 높은 단원은 좌표계를 포함한 천체 관련 단원이다. 천문 관련 문항을 맞았느냐 틀렸느냐를 기준으로 상위권이 나누어질 정도로 변별력 있는 단원이다.
좌표계의 경우 좌표의 기본적인 개념을 토대로 태양, 달, 행성 등의 천체 운동과 관련시켜 응용할 수 있어야 한다. 천체 관측 문항은 우주에서 위치 관계와 지평선 상에서 관측한 결과를 연결해 해석할 수 있도록 반복 연습하도록 한다.
②지구과학Ⅱ: 기출 개념과 유형 200% 활용
기본 개념 위주로 깊이 있게 공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지각과 지구 내부, 광물과 암석, 지질도 해석 및 우리나라 지질 그리고 지균풍, 경도풍, 지상풍을 포함한 대기 운동과 편서풍 파동 등은 개정 전부터 개정 후 지금까지 출제 빈도가 높은 중요 개념이다. 따라서 개정 전 기출을 토대로 기본 개념에 충실히 공부하도록 한다.
[박남정 개포고 교사·EBS 과학탐구 지구과학 대표강사]
[출처-조선일보]
'공부가 어렵네(수능 학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능 긴장 줄이는 방법 (0) | 2013.10.28 |
---|---|
수능 앞둔 수험생, 이제는 건강부터 챙겨라 (0) | 2013.10.28 |
윤리와 사상, 동서양 부분 출제율 높아… 제시문 속 함정 잘 피해야 (0) | 2013.10.28 |
영어 듣기, 도표·그림 미리 훑어보고 선택지 속 중요단어 체크한 뒤 푸세요 (0) | 2013.10.28 |
중위권, 수학 高난도 문제보다는 기본개념·공식 정리부터 확실히 (0) | 2013.10.28 |